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과 해외의 양자 컴퓨팅 기술 비교 (기술 수준, 연구소, 기업)

by 빈스토크 2025. 2. 25.

양자 컴퓨팅은 전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한 첨단 기술 분야입니다. 미국, 중국, 유럽 등 주요 국가들은 양자 컴퓨팅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한국 역시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국의 기술 수준, 연구소 및 기업의 참여, 정부 지원 정책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한국과 해외(미국, 중국, 유럽)의 양자 컴퓨팅 기술을 비교하며,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겠습니다.

각국의 양자컴퓨터 연구진


1. 한국의 양자 컴퓨팅 기술 현황

한국은 AI, 반도체, 통신 기술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지만, 양자 컴퓨팅 분야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한국의 주요 연구 기관 및 프로젝트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초전도 양자 컴퓨팅 연구 및 양자 오류 정정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 알고리즘 및 양자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 얽힘 및 양자 정보 처리 연구


ETRI(전자통신연구원): 양자 내성 암호 및 양자 네트워크 연구

한국 기업들의 양자 컴퓨팅 연구

  • 삼성전자: 양자 컴퓨팅 연구를 직접 수행하기보다는 글로벌 기업(IBM, 구글)과 협력
  • SK텔레콤: 양자 암호 기술을 개발하고, 양자 키 분배(QKD) 네트워크 구축
  • LG전자: IBM과 협력하여 양자 컴퓨팅 기술을 연구
  • KT: 양자 암호 및 양자 네트워크 기술 개발

정부 지원 정책

한국 정부는 2030년까지 양자 컴퓨팅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양자 기술 로드맵’**을 발표하였으며, 2022년부터 5년간 4,400억 원(약 3억 달러) 규모의 연구 예산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중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부족한 수준입니다.


2. 해외(미국, 중국, 유럽)의 양자 컴퓨팅 기술 현황

미국 – 글로벌 양자 컴퓨팅 강국

미국은 양자 컴퓨팅 연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 및 연구소

  • 구글(Google): 2019년 ‘양자 우월성(Quantum Supremacy)’ 선언, Sycamore 양자 프로세서 개발
  • IBM: 2023년 127큐비트 ‘Eagle’ 프로세서 발표, 2024년 1,121큐비트 ‘Condor’ 프로세서 계획
  • 마이크로소프트: ‘토폴로지 양자 컴퓨터’ 연구 중
  • NASA, MIT, 하버드대: 양자 컴퓨팅 연구에 적극 참여

정부 지원 정책


미국 정부는 **‘국가 양자 이니셔티브(NQI) 법안’**을 통해 2025년까지 13억 달러(약 17조 원) 규모의 양자 연구 지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중국 – 빠르게 성장하는 양자 강국

중국은 정부 주도의 대규모 투자를 통해 양자 컴퓨팅 연구를 빠르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기관 및 기업

  • 중국과학원(CAS): 광학 기반 양자 컴퓨터 ‘Jiuzhang’ 개발
  • 알리바바, 바이두, 화웨이: 양자 컴퓨팅 연구 진행
  • USTC(중국과학기술대학): 초전도 양자 컴퓨터 개발

정부 지원 정책
중국 정부는 양자 연구에 100억 달러(약 13조 원) 이상 투자하고 있으며, 양자 네트워크 및 양자 암호화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유럽 – 균형 잡힌 연구와 협력

유럽은 양자 컴퓨팅을 포함한 ‘양자 플래그십(Quantum Flagship)’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10년간 10억 유로(약 14조 원)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기관 및 기업

  • 영국 옥스퍼드대,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양자 알고리즘 및 양자 오류 정정 연구
  • 프랑스 아토스(Atos), 핀란드 IQM: 양자 컴퓨팅 하드웨어 개발
  • 네덜란드 델프트 공대: 양자 인터넷 및 양자 통신 연구

정부 지원 정책
유럽연합(EU)은 양자 기술 연구를 위해 다국적 협력을 장려하며,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등이 양자 컴퓨팅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3. 한국과 해외의 양자 컴퓨팅 비교 및 향후 전망

기술 수준 비교

  한국 미국 중국 유럽
기술 개발 속도 초기 단계 선도 빠른 성장 균형 발전
큐비트 개발 현황 10~20큐비트 수준 1000큐비트 이상 목표 100~200큐비트 수준 50~100큐비트 수준
주요 연구 기관 KRISS, KIST, IBS 구글, IBM, NASA CAS, USTC 옥스퍼드대, 델프트 공대
정부 투자 4,400억 원 (약 3억 달러) 13조 원 이상 13조 원 이상 14조 원 이상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정부 투자 확대: 현재 투자 규모가 경쟁국에 비해 적으므로, 연구비 지원을 늘려야 함
국제 협력 강화: 미국, 유럽의 연구소 및 기업과 협력하여 기술력을 높여야 함
산업 적용 확대: 양자 컴퓨팅을 AI, 반도체, 통신 분야에 접목하여 활용 가능성을 높여야 함
전문 인력 양성: 양자 컴퓨팅 연구 인력이 부족하므로,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 확대 필요


결론 :  한국의 양자 컴퓨팅 도약을 위한 전략

한국은 양자 컴퓨팅 기술에서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빠르게 투자와 연구를 확대해야 합니다. 미국과 중국은 양자 컴퓨팅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유럽은 다국적 협력을 통해 균형 잡힌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한국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국제 협력, 연구 인프라 강화, 산업 적용 확대가 필요합니다.

 

앞으로 한국이 양자 컴퓨팅 기술에서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